애드센스 승인 신청을 하기 위해서는 사이트 소유권을 확인시켜줘야 합니다.
사이트 소유권 확인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그 중에서 애드센스 코드 스니펫을 head 영역에 붙여넣는 방법과 ads.txt 스니펫을 텍스트 문서로 업로드 하는 방법이 대표적입니다.
이 중에서 저는 2번째 방법인 ads.txt 스니펫을 텍스트 파일로 업로드하는 걸 추천드리는데 그 이유는 아래에서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1. 애드센스 코드 스니펫
대부분 애드센스 사이트 소유권을 확인할 때 대부분 사람들이 애드센스 코드 스니펫을 head 영역에 붙여넣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애드센스 코드 스니펫 붙여넣는 방법
Step1 애드센스 사이트에서 [사이트-새 사이트]를 클릭합니다.

Step2 애드센스 코드 스니펫을 복사하고 head 영역에 붙여넣습니다.
head 영역에 붙여넣는 방법은 아래 글을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Step3 head 영역에 붙여넣었다면 ‘코드를 삽입했습니다.’ 에 체크하신 후, ‘확인’ 버튼을 눌러줍니다.

2. ads.txt 스니펫
2번째 방법은 ads.txt 스니펫을 텍스트 문서로 만들어서 루트 디렉토리에 업로드하는 방법입니다.
초보자 분들은 1번 방법보다 이 방법이 어렵게 느껴지실 수 있습니다.
하지만 어차피 나중에 ads.txt 문제를 해결해야하기 때문에 결국 넘어야 할 산입니다.
제가 이 방법을 추천드리는 이유는 두 번 일하지 않고 한 번에 끝낼 수 있기 때문입니다.
아래 사진을 보시면 애드센스 승인 신청을 했는데 이미 ads.txt는 승인이 된 상태입니다.
이 방법으로 사이트 소유권 확인을 하시면 나중에 ads.txt 문제를 신경쓸 필요가 없어질 뿐만 아니라 head 영역에 코드를 붙여넣는 수고도 덜어줍니다.

ads.txt 스니펫 붙여넣는 방법
Step1 이전에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로 애드센스 사이트에서 **[사이트-새 사이트]**에서 내 사이트를 등록합니다.
Step2 이번에는 Ads.txt 스니펫을 선택하고 복사하기 버튼을 눌러줍니다.

Step3 복사한 코드를 메모장에 넣고 ads라는 이름으로 저장해줍니다. 그럼 ads.txt 라는 파일이 생성됩니다.
Step4 이 파일을 루트 디렉토리라는 곳에 넣어주기만 하면 되는데 이 방법은 자세히 설명된 글이 있으므로 아래 글을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아래 글을 확인하시면 ads.txt에 대한 궁금증은 하나도 남지 않을 것입니다.
3. 애드센스 승인 신청
위 2가지 방법 중 하나를 하시면 코드를 복사했던 곳 아래쪽에 ‘검토 요청’이라는 곳이 활성화 됩니다.

그 곳에서 신청 버튼만 눌러주시면 애드센스 신청이 완료됩니다.
그 후에 사이트의 승인 상태를 확인해보시면 ‘준비중’ 이라는 메세지가 나타납니다.
이제 기다림의 시간입니다.
보통 2~4주 정도 걸린다고 알려져있으며, 1달 이상 걸리는 경우도 종종 있으니 계속 글을 작성하시면서 느긋하게 기다리시는 걸 추천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