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12월 공인인증서가 폐지되고 공동인증서로 전환되면서, 인증 시장에는 다양한 민간 인증 방식이 등장했습니다.
카카오페이 인증, 네이버 인증서, PASS 인증 등 간편하고 빠른 인증 방법이 많아지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정부 관련 서비스나 일부 금융기관에서는 여전히 공동인증서를 요구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가족관계증명서 발급, 운전면허 갱신, 보육료 결제 등 일부 공공기관의 서비스는 공동인증서가 있어야만 할 수 있는 것들이 있습니다.
그래서 이번 포스팅에서는 공인인증서(공동인증서) 발급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은행마다 공인인증서를 발급할 수 있는데 저는 국민은행에서 진행해보도록 하겠습니다.
1. 국민은행 보안프로그램 설치
제일 먼저 국민은행 보안프로그램을 설치해야합니다.
이 이야기를 제일 먼저 하는 이유가 있습니다.
인증서 저장만을 남겨놓고 있는 상황에서 보안프로그램 설치하라는 메세지가 나와서 설치했는데, 설치하니 다시 인증서 발급 처음으로 돌아가는 일이 있었기 때문입니다.
이 글을 보시는 분들은 2번 일하지 않게 보안프로그램을 먼저 설치하시길 추천드립니다.
국민은행 보안프로그램 설치방법
Step1 국민은행 보안프로그램 설치 페이지에 들어가서, ‘보안프로그램 설치 바로가기’를 클릭합니다.

Step2 ’전체설치’를 누르면 VeraPort V3가 다운로드 됩니다.

Step3 다운로드 폴더에서 VeraPort V3 설치 파일을 실행시키고 설치합니다.
설치과정은 생략하도록 하겠습니다.(계속 다음만 누르시면 설치됩니다.)

2. 국민은행 공인인증서(공동인증서) 발급 방법
보안프로그램을 설치했다면 이제 본격적으로 공인인증서를 발급을 진행합니다.
Step1 국민은행 홈페이지에서 [인증센터-개인]으로 들어갑니다.

Step2 ’공동인증서 발급/재발급’을 클릭합니다.

Step3 약관에 동의하고 사용자 ID와 주민등록번호를 입력하고, ‘약관 동의/본인확인’ 버튼을 클릭합니다.

Step4 단순히 은행이나 정부24와 같은 곳에서 서류 발급용으로 사용하신다면 ‘용도제한용’을 선택하고, 범용인증서가 필요한 경우에는 범용을 클릭합니다.
특별한 이유로 공동인증서를 발급받으시는게 아니라면 대부분 용도제한용이면 충분합니다.

Step5 추가 본인 인증을 위해 ARS 인증을 선택하고 ‘인증받기’를 클릭합니다.

Step6 전화가 걸려오면 승인 번호를 입력합니다.

Step7 출금계좌, 비밀번호, 보안카드 정보 등을 입력합니다.

Step8 수수료를 확인하고 확인을 클릭합니다.

Step9 세부 정보가 이미 입력되어 있는데, 맞는지 확인하시고 확인을 눌러줍니다.
집 전화번호가 없으신 경우에는 ‘02-000-0000’ 이런식으로 입력해줍니다.

Step10 인증서를 저장할 USB를 삽입하고, 인증서저장 버튼을 클릭합니다. 물론, 컴퓨터나 핸드폰 등 다른곳에 받아도 상관없지만 보안을 위해서 저는 별도의 USB에 저장하고 있습니다.

Step11 이동식(USB)를 선택하고 확인을 클릭합니다.

Step12 인증서 비밀번호를 2번 입력해주시고, 확인을 클릭합니다.
사진에 나와있듯이 대소문자를 구분해주시고, 영어, 숫자, 특수문자를 모두 포함하여 10자리 이상으로 해야합니다.

Step13 인증서 발급이 완료되었습니다.
